티스토리·블로거의 구글 서치콘솔 리디렉션 오류로 색인이 안 되는 원인과 정확한 URL 제출 및 canonical 설정을 통한 해결법을 정리했습니다.
티스토리나 블로거(Blogger) 플랫폼을 통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에 URL을 제출했는데, '리디렉션됨(redirected)'이라는 상태 메시지와 함께 색인이 생성되지 않는 경험을 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블로그 글이 검색 노출되지 않거나, 구글 색인 생성이 막힌 듯한 현상이 나타날 경우, 그 원인을 리디렉션 오류에서 찾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티스토리·블로거 기반 블로그에서 발생하는 리디렉션 오류의 근본 원인과 실제적인 해결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1. 리디렉션 오류란 무엇인가?
리디렉션 오류는 사용자가 요청한 URL이 다른 URL로 강제로 이동되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구글 서치봇(Googlebot)이 해당 URL을 읽으려 할 때 예상치 못한 리디렉션 체인이 발생하면, 색인 생성(Indexing)에 실패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 http → https 자동 이동
- www 미사용 도메인 → www 사용 도메인으로 이동
- 모바일 전용 페이지 → 데스크탑 전용 페이지로 리디렉션
- URL 짧은 주소 → 실제 본문 주소로 리디렉션
이러한 리디렉션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연스럽지만, 구글 서치봇 입장에서는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티스토리와 블로거의 공통적 리디렉션 문제
티스토리(Tistory)와 블로거(Blogger)는 모두 리디렉션 설정이 기본적으로 자동화되어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습니다:
- 티스토리: 기본적으로 http 접속을 https로 리디렉션
- 티스토리 단축 URL: 글 공유용으로 생성되는 tistory.me 등의 짧은 주소는 실제 글 주소로 리디렉션됨
- 블로거: blogspot.com 주소에서 사용자 도메인 또는 국가별 도메인(.kr, .jp 등)으로 리디렉션
이 과정에서 구글봇이 원본 주소가 아닌 다른 주소를 색인하려다 실패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또한 리디렉션 체인이 2단계 이상인 경우 구글은 해당 URL을 색인 대상에서 제외하기도 합니다.
3. 구글 서치콘솔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오류 메시지
- 리디렉션됨(Redirection): 입력한 URL이 다른 페이지로 이동되었기 때문에 색인에서 제외됨
- 탐색할 수 없음(Crawl Anomaly): URL에 문제가 있어 구글이 크롤링을 완료하지 못함
- 색인되지 않음(Discovered – currently not indexed): 크롤링은 됐으나 색인되지 않음
특히 리디렉션 상태가 ‘리디렉션됨’으로 뜨는 경우, 색인 요청을 반복해도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4. 리디렉션 오류의 주요 원인 분석
- 중복 주소(캐노니컬 문제): 같은 콘텐츠가 여러 URL로 접근될 수 있어 구글이 하나만 색인함
- https/http 미정리: 구글봇이 http 주소를 제출받았는데 https로 이동되면 오류로 판단할 수 있음
- 짧은 URL 제출: 티스토리 단축 주소(tistory.me 등)를 제출하면 본문 주소로 리디렉션되어 색인 불가
- 국가 도메인 리디렉션: 블로거의 blogspot.kr → blogspot.com 이동 등
5. 해결 방법 – SEO 친화적 리디렉션 관리 팁
- 정확한 URL 제출: 서치콘솔에 제출할 때는 최종 본문 주소를 https, www 포함 형태로 정확히 제출
- tistory.me URL 지양: 단축 주소 대신 실제 본문 주소를 제출
- 블로거의 국가 리디렉션 방지: blogspot.com/ncr (No Country Redirect) 옵션 사용
- canonical 태그 확인: HTML의 <head>에 rel="canonical" 태그가 정확히 설정돼 있는지 확인
- sitemap.xml 제출: 정확한 경로의 사이트맵을 등록하여 크롤러의 경로를 명확히 지정
또한 티스토리에서는 관리자 페이지 → 설정 → 사이트 → HTTPS 사용을 명확히 설정하고, 블로거에서는 설정 → HTTPS 리디렉션 옵션을 반드시 활성화해줘야 합니다.
6. 결론
티스토리와 블로거 블로그에서 '리디렉션됨' 오류로 색인이 되지 않는 현상은 대부분 URL 제출 방식의 문제, 혹은 자동 리디렉션 처리로 인한 구글봇 혼동에서 비롯됩니다. 이 문제는 정규 URL을 정확하게 제출하고, 불필요한 리디렉션 경로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상당 부분 개선됩니다. 블로그의 SEO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단지 글을 잘 쓰는 것뿐 아니라, 검색엔진이 올바르게 주소를 이해하도록 돕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부터라도 URL 구조를 점검하고 리디렉션 문제를 바로잡아 보세요.
요약
- 리디렉션 오류: 구글이 URL을 다른 주소로 이동 중이라 판단하고 색인하지 않음
- 티스토리/블로거 문제: 자동 https 리디렉션, 단축주소 사용, 국가 도메인 변환 등
- 해결 방법: 정규 주소 제출, canonical 설정, sitemap 등록
댓글